전체 글 (457)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 DFS 스페셜 저지 (16964번) 1. 문제 해석사용자가 DFS를 통해 정답을 제출했을 때 복수의 정답을 채점하는 경우의 알고리즘을 짜는 문제이다즉 답이 여러 개일 경우 해당 제출한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문제이다 2. 사용되는 자료구조Set[] 인접 리스트 사용목적 : 노드끼리 연결된 노드들만 저장하기 위해 사용이유 : 인접 행렬(int[][])를 사용했을 때 공간 복잡도에 걸림또한 List[]를 사용했을 때 해당 노드에 접근하는데 시간복잡도(73%에서 걸렸습니다)가 걸림Stack목적 :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이용하여 해당 노드로 접근이 가능한지 파악할 때 접근을 할 수 없다면 이전 노드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유 : 매개변수로 제어해볼려고 했었지만 이전의 이전 노드를 저장할 수 없어 사용하게 되었음 3. 핵심 아이디어최초.. [백준] 후위 표기식 (1918번) 후위 표기식(Reverse Polish Notation, RPN) 변환 방법1. 후위 표기식이란?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수식은 중위 표기식(Infix Notation)입니다.예를 들어:중위 표기식: A + B * C후위 표기식: ABC*+후위 표기식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표기법으로, 괄호 없이도 연산 순서를 명확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사용되는 자료구조후위 표기식으로 변환할 때는 스택(Stack)과 큐(Queue) 를 활용합니다.스택(Stack): 연산자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큐(Queue) 또는 문자열: 변환된 후위 표기식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이유연산자는 우선순위에 따라 LIFO(Last-In-First-Out, 후입선출) 구조인 스택에 저장해야 합니다.피연산자와 .. [Java] Queue 구현 Queue를 잘 모르신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구현하는 Queue 기능offer(element) -> 뒤에 요소 추가poll() -> 앞에 요소 추출 후 반환peek() -> 앞에 요소 반환size() -> 크기 반환isEmpty() -> 비어있는지 true/false 반환clear() -> queue 비우기 Queue 구현하기(Linked List)혹시 기능만 보고 구현하시고 싶으신 분을 위해 숨김으로 하겠습니다.더보기더보기package util;import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public class Queue { Node head; Node tail; int size; public Queue() { size = 0; }.. [수학] 좌표평면 두 점 사이의 거리 백준 문제를 풀 다 보면 좌표평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문제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수학을 안한지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하여 한 번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우선 알아야하는 것은 피타고라스의 정리 이론을 알고 있어야합니다.만약 모르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좌표평면 두 점 사이의 거리P1(1,2) 와 P2(4,6) 거리를 구하시오P1(1, 2), P2(4,6)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직각 삼각형을 그려야합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사용하기a^2 + b^2 = c^2여기에서 좌표를 구하면 a = 3, b = 4 이므로9 + 16 = c^2이 됩니다. 즉 P1(1,2) 와 P2(4,6) 거리는 루트25 = 5가 됩니다. [Java] Deque 구현 Deque를 잘 모르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구현하는 Deque 기능pushFront(element) → 앞쪽에 요소 추가 pushBack(element) → 뒷쪽에 요소 추가popFront() → 앞쪽 원소 제거 및 반환popBack() → 뒷쪽 원소 제거 및 반환peekFront() → 앞쪽 원소 확인(제거하지 않음)peekBack() → 뒷쪽 원소 확인(제거하지 않음)isEmpty() → 비어 있는지 확인(true/false) Deque 구현하기(Linked List)혹시 기능만 보고 구현하시고 싶으신 분을 위해 숨김으로 하겠습니다.더보기더보기public class Deque { private Node front; private Node back; private int size;.. [자료구조] Deque(Double-Ended Queue) Deque(덱, Double-Ended Queue)란?양쪽(앞, 뒤)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큐이며 스택과 큐의 특성이 동시에 있는 자료구조입니다. Deque 특징1. 앞, 뒤로 삽입, 삭제 가능일반적인 큐는 한 쪽으로만 삽입이 가능하고 반대편으로 삭제만 가능했다면 Deque는 양 옆으로 삽입, 삭제가 가능한 자료구조입니다. 2. 빠른 연산 속도일반적으로 LinkedList 또는 Array로 구현되며 삽입/삭제 연산이 O(1)로 수행됩니다. 3. 두 가지 형태로 사용 가능StackQueue Deque 주요 연산연산설명pushFront(element)앞쪽에 요소 추가pushBack(element)뒷쪽에 요소 추가popFront()앞쪽 원소 제거 및 반환popBack()뒷쪽 원소 제거 및 반환peek.. [데이터베이스] 키(Key) 키(Key)란?데이터베이스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행)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튜플(행)들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속성(열)을 말합니다.ex) 성별 속성을 통해 남성만 출력을 하거나 여성만 출력하기 키 종류후보키기본키대체키슈퍼키대체키 모든 키 설명은 해당 테이블로 설명하겠습니다.학번이름전화번호주민등록번호성별2001234홍길동01012345678011212-1234567남2101234김옥동01032146542991056-3121241남2010133김옥동01096543341891515-1515156여 후보키(Candidate Key)릴레이션(테이블)을 구성하는 속성(열) 중에서 튜플(행)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즉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의미합니다.. [Java] Stack 구현하기 Stack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구현하는 Stack 기능 push(data) → 스택의 맨 위에 요소 추가pop() → 스택의 맨 위 요소 제거 및 반환 (비어있으면 예외 처리)peek() → 스택의 맨 위 요소 확인 (제거하지 않음)isEmpty() → 스택이 비어있는지 확인size() → 현재 스택에 있는 요소 개수 반환clear() → 스택의 모든 요소 제거contains(data) → 특정 값이 스택에 존재하는지 확인 혹시 기능만 보고 구현하시고 싶으신 분을 위해 숨김으로 하겠습니다.더보기package util.stack;import java.util.EmptyStackException;import java.lang.reflect.Array;public class Stack.. 이전 1 2 3 4 5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