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57)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로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알기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면서 IP 주소 문제가 나왔을 때, 자꾸 헷갈려서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구구절절 설명하는 것보다 예제를 통해 하나씩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예제IP 주소: 192.168.100.75서브넷 마스크: 255.255.255.224 Step 1. IP 주소를 비트(2진수)로 변환IP 주소는 8비트씩, 총 4개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각 자리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자리: 128 64 32 16 8 4 2 1비트: 1 1 1 1 1 1 1 1 → 최대값 255Tip: 큰 수부터 차례로 빼면서 0이 될 때까지 진행하면 2진수로 쉽게 변환 가능합니다. 192 →192 - 128 = 6464 - 64 = 0→ 128, 64 사용 .. [리눅스] chmod chmod란?파일이나 디렉토리에 권한(permission)을 설정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어떤 파일은 특정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다른 파일은 모두가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싶을 때 chmod 명령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파일 권한이란?리눅스 시스템에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소유자(owner), 그룹(group), 그리고 기타 사용자(others)에게 각각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이 권한은 ls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s -ltest.sh -rwxr-xr-- 첫 번째 문자 -는 일반 파일(디렉토리면 d)을 의미합니다.그 뒤의 9자리 권한은 3자리씩 끊어 읽습니다: rwx / r-x / r-- chmod..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 UUID란?범용 고유 식별자로 전 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ID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주로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식별자입니다. UUID를 왜 사용할까?일반적인 로컬 환경이거나 중앙 관리 시스템이 있는 환경이라면 각 세션에 일련번호를 부여해줌으로써 유일성을 보장 받을 수 있지만 분산 컴퓨팅 시스템일 경우 개별 시스템이 id를 발급하더라도 유일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분산 컴퓨팅 시스템에서도 유일성을 보장받기 위해 UUID를 사용합니다. UUID의 구조128비트의 숫자 문자열이고 총 길이는 36자리입니다. 32개의 16진수 숫자가 4개의 하이픈으로 나누어진 8,4,4,4,12 형태입니다. 총 36자 → 32자리의 16진수 + 4개의 하이픈참고 : https://docs.tosspayments.. [Spring boot] 프록시 객체(Proxy Object) 프록시 객체란?원본 객체를 감싸는 객체로 실제 객체를 대신하여 요청을 처리하는 객체입니다.메소드 호출을 가로채 추가적인 기능(로깅, 트랜잭션, 보안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프록시 객체의 주요 특징AOP 적용 시 프록시 객체 사용AOP는 메소드 실행 전후에 부가 기능을 삽입하기 위해 프록시 객체를 활용합니다.@Transactional을 적용하면 대상 객체 대신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프록시 객체를 생성동적 프록시 방식런타임에 동적으로 프록시 객체 생성트랜잭션 관리와 관련@Transactional을 사용할 경우 해당 객체의 메소드를 실행할 때 프록시를 통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커밋을 하고 예외가 발생할 때는 롤백을 합니다. 프록시 객체 종류JDK 프록시 객체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 [Java] BigInteger란? 사용법 BigInteger란?BigInteger는 자바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 하나로, 기본 정수형 int와 long의 범위를 넘어서는 정수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BigInteger는 java.math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매우 큰 정수뿐만 아니라 부동소수점 오차를 처리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언제 사용할까?범위 확장 : long 자료형으로 표현할 수 없는 큰 수를 다룰 수 있습니다. (long의 최대값은 9223372036854775807)부동소수점 오차 처리 : 실수 연산에서 발생하는 부동소수점 오차를 해결하기 위해 BigDecimal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BidDecimal은 고정 소수점 연산을 하여 부동소수점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제impor.. [Spring Boot] 상속관계 매핑 전략 개발을 진행하던 중 스, 드, 메 테이블을 작성하였고 밑의 그림처럼 테이블을 작성하였습니다.스드메의 공통 속성들을 상품 테이블로 묶고 1대1 관계로 연관관계를 설정하였으며 개발에 들어가니 너무 귀찮은 작업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개발을 진행했을 때 드레스 1개 상품을 등록을 할 때 상품 테이블에 데이터 1개 드레스 테이블에 데이터 1개를 저장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뜩 드는 생각은 이렇게 번거롭고 귀찮은 작업을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했을텐데 간편하게 만든게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찾아보았습니다. 상속 관계 매핑에 대해서 검색을 하니 바로 검색으로 나왔었습니다.https://victorydntmd.tistory.com/209 [Spring JPA] 상속 ( JOINED 전략을 중심으로 )객체지향.. [알고리즘] 위상 정렬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이란?방향성이 있는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DAG)에서 선행 관계를 유지하면서 모든 노드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방법즉, 어떤 일을 수행하는 순서가 있을 때 그 순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 예시 : 특정 작업이 끝나야만 다른 작업이 가능할 때 위상 정렬을 알기 전 알아야 할 지식진입 차수(indegree) : 특정 노드로 들어오는 간선의 개수진출 차수(outdegree) : 특정 노드에서 나가는 간선의 개수 위상 정렬 알고리즘 동작 과정위상 정렬 알고리즘은 큐를 사용하여 구현을 합니다.진입 차수가 0인 노드를 큐에 넣습니다.큐가 빌 때까지 다음 과정을 반복합니다.큐에서 원소를 꺼내 해당 노드에서 나가는 간선을 그래프에서 제거새롭게 진입 .. [Spring Boot] @PrePersist 어노테이션 @PrePersist란?JPA의 라이프사이클 이벤트 어노테이션 중 하나로, 엔티티가 영속화(저장)되기 전에 실행할 로직을 정의할 때 사용EntityManager.persist() 혹은 save() 중 하나라도 호출이 될 때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되기 직전 실행되는 메소드 예제 : 유저 가입일 자동 값 입력UserEntityimport jakarta.persistence.*;import lombok.*;import java.time.LocalDateTime;@Getter@Entity@Table(name = "user")@AllArgsConstructor@NoArgsConstructor@Builder@ToStringpublic class UserEntity { @Id @GeneratedVa.. 이전 1 2 3 4 ··· 58 다음 목록 더보기